윈도우 10 설치 과정에서의 계정 생성 방법 - 로컬 계정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비교
윈도우 10 설치 과정은 쉽고 간편하지만, 계정 생성 단계에선 잠시 고민하게 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 10에서는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이용한 로그인을 권장하고 있지만, 로컬 계정 생성도 여전히 가능합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떤 계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선택하기 전에 정보를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로컬 계정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차이점은?
- 로컬 계정
- 윈도우 컴퓨터에만 저장되는 계정입니다.
- 인터넷 연결 없이도 계정 생성이 가능합니다.
- 특정 기능 (예: 윈도우 스토어 앱 다운로드)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 이메일 주소와 암호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온라인 계정입니다.
- 윈도우 컴퓨터 외에도 다른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 (예: OneDrive, Office 365) 이용에便利です (편리합니다).
- 계정 정보는 온라인에 저장되기 때문에, 여러 디바이스에서 동기화가 가능합니다.
로컬 계정 생성 방법
1. 인터넷 연결 끊기
윈도우 10 설치 과정 중 "인터넷에 연결" 창이 나타나면 인터넷 연결을 끊습니다. 네트워크 케이블을 뽑거나, 무선랜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 "계정 만들기" 선택
인터넷 연결이 끊어지면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 창 대신에 "계정 만들기" 옵션이 나타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여 로컬 계정 생성 과정을 진행합니다.
3. 사용자 이름과 암호 설정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합니다. 암호는 반드시 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가 포함되도록 강력하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생성 방법
1. 인터넷 연결 유지
윈도우 10 설치 과정 중 "인터넷에 연결" 창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합니다.
2.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 선택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 옵션을 선택합니다.
3. 이메일 주소와 암호 입력
이미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이메일 주소와 amigurumi password를 입력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없다면 "새 전자 메일 주소 받기" 를 클릭하여 새로운 계정을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계정을 선택해야 할까요?
보통 개인 사용자의 경우 로컬 계정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중에 어느 것을 선택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을 토대로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인터넷 연결 여부: 인터넷 연결이 없는 환경에서 윈도우 10을 설치해야 한다면 로컬 계정을 선택해야 합니다.
- 앱 사용 여부: 윈도우 스토어를 통해 앱을 다운로드하고 사용한다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 여러 디바이스 사용 여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윈도우와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계정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윈도우 10 설치 과정에서 생성하는 계정은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로컬 계정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기능을 고려하여 적합한 계정을 선택하세요.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0 저장공간 부족? 쉽게 확보하는 5가지 방법! (0) | 2024.03.27 |
---|---|
윈도우 10 컴퓨터 사양 - 쉽게 알아보는 방법! (0) | 2024.03.27 |
윈도우 10 잠금화면을 멋지게꾸미기 - 배경 이미지 설정 방법 (0) | 2024.03.26 |
윈도우 10 부팅시에도 멋지게! 로그인 화면 배경 변경 방법 (1) | 2024.03.26 |
윈도우 10 복구의 강력한 도구: 시스템 복원 지점 만들기 및 사용 방법 (0) | 2024.03.23 |